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간단한 방법

오늘은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 방법에 대해서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며칠전 노트북에 그래픽카드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었는데요. 장착한 그래픽카드로 충분히 구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봤는데 원활하지 못하더라구요. 알고보니 노트북이 내장그래픽을 인식하고 있어서 새로 설치한 그래픽카드를 인식하지 않고 있는것이 원인이였는데요.

 


 

 

 

저와같은 상황에 처하신 분들은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를 하시면 된답니다. 제가 설치한 그래픽카드는 NVIDIA 제품이라 내용이 NVIDIA 설정방법 위주이긴 한데요. 타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바탕화면에서 우클릭을 하시면 그래픽카드 제어판 항목이 보이실 겁니다. 눌러보도록 합시다.

 



 

그럼 위와 같이 그래픽카드 제어판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설정만 변경해주시면 되는데요. 먼저 좌측에서 '3D 설정' -> '3D 설정 관리'로 이동하도록 합시다.

 

이후 '기본 그래픽 프로세서'를 '자동선택' 에서 '고성능 NVIDIA 프로세서'로 변경하도록 합시다.

 

아래의 '다중 디스플레이/혼성 GPU 가속' 옵션에 대한 설정은 '단일 디스플레이 성능 모드'로 변경하도록 합시다.

 

 

이제 마지막으로 다시 좌측의 '3D 설정' -> 'PhysX 구성 설정' 으로 이동하도록 합시다. 이후 '프로세서 선택' 에서 본인이 장착한 그래픽카드 모델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노트북 내장그래픽 끄기에 대한 내용을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